자동차 보상상식

도로 틈에 고인 빗물 때문에
사고가 나면 과실 범위는?

고인 빗물이 옆 차선 운전자의 시야를 가린 상황

비가 보슬보슬 내리는 아침, 홍길동 씨는 도로 틈에 고여 있는 빗물을 확인하지 못하고 직진하다가 옆 차선의 임꺽정 씨 차량으로 빗물을 튀겼다. 갑작스러운 물 폭탄이 차량 전면에 튀어 앞이 잘 보이지 않게 된 임 씨는 핸들을 급히 조작하다가 인도를 충격하고 말았다. 앞 범퍼가 파손된 상황, 임 씨는 홍 씨에게 수리비를 요구했다.
홍 씨는 도로관리 관청의 관리 부실에 의한 사고라고 주장하며 관청에 연락을 취했다. 현장에 도착한 관청 직원 전우치 씨는 오전 내내 폭우가 내렸고 사고 시각에도 비가 내리고 있는 상황에서 홍 씨가 도로 틈을 확인하지 못한 과실이라고 주장했다.

서로 다른 의견으로 대립각을 세우는 두 사람, 누구의 과실이 더 클까?

과실비율

빗길운전, 운전자의 각별한 주의 요구

안전운행을 하지 않은 홍 씨의 과실비율이 높음

홍 씨가 폭우로 인해 악화된 도로 상황을 고려하지 않아 일어난 사고다. 따라서 안전운행의 의무를 다하지 못한 홍 씨의 책임이 크다. 하지만 도로 관리의 의무를 다하지 못한 관청에게도 20~50%의 배상책임이 주어진다.

이럴 땐 이런 과실 판정
홍 씨가 과속운전을 했다면 관청의 과실비율은 10~20%까지 낮아진다.

key point

사고율과 치사율 높은 빗길운전

눈길만큼이나 빗길에서의 운전도 매우 위험합니다. 빗길 운전이 눈길 운전보다 사고율이 높고 치사율 또한 높기 때문입니다. 비 오는 날은 자동차가 미끄러지기 쉽고, 제동거리가 평상시보다 길어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. 또 시야 확보가 어려워 평소보다 주변을 살피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.

안전운전을 방해하는 최대 적을 피하라!
빗길 위험요소 3

  • 1. 위험한 수막현상
    수막현상이란, 물웅덩이가 생긴 도로를 고속으로 달릴 때 타이어가 물 위에 떠서 구르게 되는 현상을 뜻합니다. 타이어와 길바닥이 닿지 않아 마찰력이 줄어 타이어가 헛도는 느낌이 드는데, 이때 제동을 하거나 핸들을 조작하면 미끄러지기 쉽습니다.

  • 2. 어려운 시야 확보
    차량 앞유리에 직접 부딪히는 빗방울 때문에 전방과 후방의 사물이 제대로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. 따라서 평소보다 시야 확보에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. 앞차나 옆차가 돌발적으로 물웅덩이를 밟고 지나가면서 물이 튀는 경우도 있는데, 이럴 때는 시야가 일시적으로 안 보일 수 있어 조심해야 합니다.

  • 3. 늘어난 제동거리
    제동거리란, 자동차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아 자동차가 정지할 때까지 도로면 위에서 미끄러지는 거리를 말합니다. 비 오는 날 제동거리는 평소보다 10%가량 늘어나기 때문에 돌발상황이 발생했을 때나 순간적으로 브레이크를 밟을 때 사고율이 올라갑니다.

꿀팁

빗길 위, 안전운전 행동 요령

DO

  • Tip 1안전거리 확보하기
    차간 거리를 평소보다 50% 이상 확보해 미끄러짐에 의한 추돌사고를 대비합니다.
  • Tip 2감속 운행하기
    비가 오면 브레이크를 밟아도 평소보다 반응속도가 느려지므로 제한속도보다 최대 20% 정도 감속 운행하는 것이 좋습니다. 가장 미끄러운 시기는 비가 내리기 시작할 때입니다.
  • Tip 3낮에도 전조등 작동하기
    비 오는 날은 낮에도 어두우니 전조등을 켭니다. 전조등은 시야 확보를 하는 동시에 다른 차량에게 내 차의 위치를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.
  • Tip 4타이어 점검으로 수막현상 최소화하기
    수막현상은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거나 타이어가 오래됐을 때 발생하기도 하니 평상시 타이어를 정기적으로 점검합니다.
  • Tip 5중앙차로 이용하기
    도로의 선형 구조상 가장자리 차선에 물웅덩이가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. 따라서 가능하면 중앙차로를 이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
DON'T

  • Tip 11차로 주행 및 낙석 주의구간 운행
    비 오는 날은 마주 오는 차량과 정면으로 충돌할 위험이 있는 1차로 주행은 피하고, 낙석 주의구간이 있을 때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멀리 돌아가는 것이 안전합니다.
  • Tip 2DMB 시청 및 통화
   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주변을 살펴야 하므로 DMB 시청 및 라디오 청취, 통화는 삼갑니다.
  • Tip 3급출발 및 급브레이크
    급출발이나 급브레이크는 미끄러짐이나 전복사고의 원인이 되므로 브레이크 페달을 여러 번 나누어 밟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Tip 4물가 주차 및 물웅덩이 주의
    물가 주차는 침수 위험이 있고, 길에 물이 고여 있는 곳을 지나다가 시동이 꺼지기도 하므로 물가 주차와 물웅덩이를 주의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