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요 질환정보 및 청구가이드
갑상선 양성결절(고주파 절제술)
갑상선 양성결절이란?

갑상선 내에 갑상선 실질과 구분되는 덩어리 모양의 병변을 갑상선 결절이라고 하며, 90~95%는 암이 아닌 양성결절입니다.

증상

갑상선 결절은 대부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.

갑상선 결절의 크기가 매우 커졌을 때 주위 조직, 기도나 식도를 압박하여 삼킴곤란,호흡곤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
진단 및 검사

대부분의 양성결절은 특별한 치료없이 정기적인 추적관찰이 고려되지만, 크기가 커서 목을 압박하는 등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 치료가 필요합니다.

진단 및 검사 안내 검사방법, 내용 구성
검사방법 내용
초음파 검사
  • 갑상선의 모양,크기,결절의 성상 확인
  • 악성위험도를 분류, 세포검사 시행여부 판단
미세침흡인세포검사
  • 바늘로 세포를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관찰
  • 결절의 종류(악성,양성 등)를 감별
고주파 절제술이 무엇인가요?

국소마취하 결절 내에 바늘을 삽입하고 바늘을 통해 고주파를 흘려 발생하는 고열로 결절을 괴사시키는 시술로 합병증이나 부작용이 드뭅니다.

보통 시술에 10분~1시간 소요되며, 시술 후 1시간 정도 회복실에서 관찰합니다.

그림. 고주파절제술 시술방법 ※ 출처: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> 갑상선 양성종양 질병정보

치료 전 확인해 주세요

  • 치료 결정 전 전문기관의 권고 기준을 먼저 확인해 주세요.
  • 2cm보다 크고 점점 자라나는 경우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. 2회 이상의 조직검사를 통해 양성으로 진단된 경우 권고합니다.
  • 신체에 조작을 가하는 시술로 치료방법을 신중하게 선택해 주세요.

실손의료비 청구 시 유의해 주세요

  • 청구 사항에 대해 추가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상담당자가 초음파 검사결과, 조직검사, 진료기록지 등 의무기록 제출을 추가로 요청드릴 수 있어요!
  • 보험금 심사과정에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경우에는 현장심사를 요청드릴 수 있어요! *보험사기 예방 모범규준 제12조1 근거

예시

  • 양성결절 여부에 대한 사전검사 없이 수술을 시행한 경우
  • 2cm 미만 결절에 대하여 경과 관찰 없이 수술한 경우
  • 진단을 위한 객관적인 검사자료 제출을 거부하는 경우 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