퇴직연금 투자가이드

올바른 퇴직연금 운용을 위한 투자가이드를 안내해 드릴게요

유형별 위험자산 투자한도

  • 「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」은 근로자 퇴직금 재원의 성격을 감안해 다음과 같은 위험자산 투자한도를 설정하고 퇴직연금 운용상품의 투자 가이드라인을 정하고 있습니다.
확정급여형(DB)
주식, 주식형 펀드 등과 같은 위험자산에 계약자 적립금의 70% 한도로 투자 가능
확정기여형(DC) 개인형 퇴직연금(IRP)
주식형 펀드, 주식혼합형 펀드 등과 같은 위험자산에 가입자 적립금의 70% 한도로 투자 가능
(단, 주식 및 주식 관련 채권, 사모펀드 등은 투자할 수 없음)

투자성향의 이해

  • 투자자는 위험 감내수준에 따라 5단계의 성향으로 분류되며 각 성향에 따라 자산 구성도 달라져야 합니다.
  • 원금 이상을 보장받고 싶은 경우 보수적 투자자로 분류하며, 원금의 상당한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고수익을 추구하는 경우 적극적 투자자로 분류합니다.
  • 고객 본인이 희망하고 동의하는 경우, 투자성향분석 결과보다 고위험군 상품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.

위험성향별 투자 가능 상품

( X 투자불가 / ○ 투자가능)
위험성향별 투자가능 상품

구분 1등급
(매우높은위험)
2등급
(높은위험)
3등급
(중간위험)
4등급
(낮은위험)
5등급
(매우낮은위험)
안정형 X X X X O
안정추구형 X X X O O
위험중립형 X X O O O
적극투자형 X O O O O
공격투자형 O O O O O